5월 K패스 카드 알아보기!! - 교통카드, 신청방법, 혜택내용, 이용방법, 기존카드와 비교

안녕하세요! 오늘은 대중교통을 많이 타시는 분들을 위한 혜택을 준비해 봤는데요!

정부에서 대중교통비의 20~53%를 절감할 수 있는 ‘K-패스’ 제도를 5월부터 시행한다고 합니다!

K-패스는 교통카드인데요! 발급방법, 혜택내용에 대해서 알아볼까요?

K-패스 혜택내용 알아보기!!!

K-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,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(일반인 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)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라고 합니다.

예를 들어 매달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 원을 지출한다면 일반인은 1만 4000원, 청년은 2만 1000원, 저소득층은 3만 7000원을 아낄 수 있다고 해요!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까지 더해지면 절감 효과는 더 커진다고 합니다.

표 1

[알뜰교통카드보다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k-패스 카드]

☞☞K -패스 얼마나 아낄 수 있는지 알아보러 가기!!!☜☜

1. 혜택내용

이용대상

  • 만 19세 이상,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이용, 월 60회 이용 분까지 할인 ∙혜택사항
  • K-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·마을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수도권 광역급행철도(GTX)를 이용하면 다음 달에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(일반인 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)을 돌려준다고 합니다.
  • 월 교통비의 20% ~ 53.5% 할인(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층 53.5%)
    * 청년 : 만 19세 ~34세 / 저소득층 :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
  • 적용수단 : 전국 시내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
  • 장거리 출퇴근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! 일반 시내버스와 지하철 외에도 수도권 광역 급행철도(GTX)-A, 광역버스 등 비용이 많이 드는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도 K-패스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^^

이용방법

  • K-패스 카드발급(은행 방문/카드사 홈페이지 신청/ 카드사 고객센터 전화)
  • 은행 : 농협, 신한, 국민, 우리, 하나, 기업
  • 카드사 : 농협, 신한, 국민, 삼성, 현대, 우리, 하나, BC, 케이뱅크, 이동의 즐거움 (모바일 이즐, 카카오페이 모바일 교통)
  • K-패스 앱 또는 k-패스 홈페이지(korea-pass.kr)에서 회원가입 및 카드번호 등록
  • 인터넷 이용이 어려운 경우 K-패스 카드를 은행에서 발급받은 후 해당 카드와 핸드폰을 소지해 도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면 회원가입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다고 해요

☞☞K-PASS 카드 신청하러 가기!☜☜

할인방법

  • 매월 할인(다음 달 계좌입금 또는 결제대금 차감)

2. 알뜰교통카드와 K-패스카드 비교

  • 현재 시행 중인 ‘알뜰교통카드’는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마일리지가 지급되는 방식이어서 매번 출발·도착을 기록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지만, K-패스는 지출금액에 따라 환급되므로 ‘이동거리 기록’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해요!

표2

3. 기후 동행카드와 k-패스카드 비교

앞서 지난달 서울시가 출시한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K-패스는 광역교통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게 특징으로,

경기도가 K-패스를 지역 맞춤형으로 내놓는 ‘더 경기패스’는 최근 개통된 GTX-A 동탄~수서 구간에서도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고 합니다

똑똑한 교통카드 K-패스 출시

 

 

4. [알뜰교통카드 이용자]의 경우 k-pass 카드로 전환이 가능해요!

  •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알뜰교통카드 앱을 통해 회원 전환이 가능한데요.
  • 5월 2월부터 회원 전환 신청 관련 안내가 진행된다고 하니 늦지 않게 전환할 수 있도록 틈틈이 확인해 주세요!
  •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추가 카드 발급이나 회원가입 없이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누리집(alcard.kr)에서 간단한 회원 전환 동의절차를 거치면 기존 카드로 K-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~ 회원 전환은 6월 30일까지로, 기간 내 전환하지 못한 경우 K-패스 카드를 신규로 발급받아 사용하면 된다.

5. 신규 가입자는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?

알뜰교통카드가 없는 신규 가입자의 경우 5월부터 K-패스 공식 홈페이지(korea-pass.kr)나 공식 앱 혹은 11개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카드를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.

표3

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시는 분들은 꼭 k-pass카드 신청을 하셔서 생활비를 조금이라도 아껴보는 건 어떨까요?^^

대중교통

loading